• 최종편집 2025-01-24(금)
 

111.jpg

 

해양수산부(장관 강도형)는 선박의 부유물 감김사고 예방을 위하여 우리 연안의 ‘부유물 감김사고 현황도’를 제작하여 12월 2일(월)부터 여객선∙어선 등에 제공한다.

 

부유물 감김사고란 바다에 떠다니는 폐어구·폐그물 등이 선박의 추진기에 감기는 사고를 말하며, 이로 인한 선박 운항 중단은 물론, 선체 전복 등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.

 

해양수산부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발생한 부유물 감김사고 데이터를 수집∙분석하여 6개 권역으로 구분한 사고 현황을 그림 형태로 시각화하였다.

 

이 현황도는 해역별 사고 빈도가 높을수록 짙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선박운항자가 위험해역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.

 

해수부는 현황도 2,700부를 여객선과 어선 등에 배포하고, ‘바다내비’ 앱 화면으로도 실시간 정보를 표출할 계획이다. 아울러, 부유물 감김사고 데이터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오픈API(mtisopenapi.komsa.or.kr) 및 공공데이터포털(www.data.go.kr)에도 게시한다.

 

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“부유물 감김사고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선박 운항 시 ‘부유물 감김사고 현황도’를 참고하면 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”이라며, “앞으로도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”라고 말했다.

태그

전체댓글 0

  • 90854
비밀번호 :
메일보내기닫기
기사제목
부유물 감김사고 다발지역 미리 확인가능
보내는 분 이메일
받는 분 이메일